
[KNS뉴스통신=조현철 기자] 지난 3월 울산에서 계부와 친모가 두 살짜리를 학대하고 굶겨 영양실조 등으로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준 가운데, 최근 5년간 아동학대로 인해 숨진 아동수가 201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. 그중 특히 자기의사표현이나 방어능력이 없는 1세 미만의 사망자가 77명이나 되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더했다.
보건복지부가 국민의힘 이종배 의원(충북 충주)에 제출한 ‘2016년~2020년 아동학대 현황’에 따르면 아동학대 사망자 수는 ▲2016년 50명▲2017년 38명 ▲2018년 28명 ▲2019년 42명 ▲2020년 43명으로 나타났다.
매년 아동학대 사망자가 발생하는 가운데 아동학대 건수는 ▲2016년 18,700건 ▲2017년 22,367건 ▲2018년 24,604건 ▲2019년 30,045건 ▲2020년 30,905건으로 집계됐다. ‘20년 아동학대 판단건수는 ‘16년에 비해 65.2%나 증가한 것이다.
아동학대 유형을 보면 최근 5년간(2016~2020년) 중복학대가 61,057건(48.2%), 정서학대가 30,532건(24.1%), 신체학대가 17,422건(13.8%), 방임이 13,937건(11.0%), 성학대가 3,673건(2.9%) 등으로 분석됐다.
같은 기간 아동학대 행위자 유형을 살펴보면 전체 아동학대 건수 중 부모가 78.4%인 99,224건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, 대리양육자가 13.7%인 17,338건, 친인척 등이 5,969건 등으로 나타났다.
이 의원은 “아동학대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, 학대행위자 상당수가 부모”라며 “가정에서 이뤄지는 학대는 외부로 노출되기 어려운 만큼 사전예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, 학대받는 아동을 안전하게 분리·보호할 시설 및 아동보호전담인력 확충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”고 강조했다.
조현철 기자 jhc@kns.tv